생정통계의 종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2 19:02
본문
Download : 생정통계의 종류.hwp
출산과 출산률 및 사인별 비와 성비에 대해서 작성했습니다. 단 이수치는 여자의 사망을 고려에 넣지 않고 계산된 것이다.
* 영아 사망률이 한 국가의 보건 수준을 나타내는 가장 대표적 지표로 사용되는 이유
1. 영아사망은 모자보건, environment(환경) 위생 및 영양수준 등에 민감하다.
2. 생후12개월 미만의 일정 연령군 …(省略)
순서
설명
생정통계의 종류
다.
* 총 출산율= ∑(Bx/Fx)1000 ⇒ ∑(Bx/Fx)=15세에서 45세까지의 연령별 출산율의 합
Bx = 특정 연령층 여성에 의한 출생 건수
Fx = 특정 연령층 여성 총수
2. 영아사망률(Infant Mortality Rate)
영아사망률 = 그 해 연도 중 0세의 사망수
(생후 12개월 이내에 사망한 영아수)×1.000 어떤 연도의 정상 출생수- 영아사망률은 연령별 특수사망률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는데 분모에 1세 미만의 인구는 현실적으로 파악이 불가능하므로 출생수를 사용하는 것이다.
,의약보건,레포트




출산과 출산률 및 사인별 비와 성비에 대해서 작성했습니다. 단점은 모성사망률과 마찬가지로 출생 건수의 과소 등록과 연역에서 다음 해로 이전하는 것 등이다.□생정통계의종류 , 생정통계의 종류의약보건레포트 ,
□생정통계의종류
레포트/의약보건
Download : 생정통계의 종류.hwp( 17 )
1. 출산과 출산률
2. 영아사망률(Infant Mortality Rate)
3. 신생아 사망률(Neonatal Mortality Rate)
4. 모자 보건서비스 이용지표
5. 연간특수 사망률
6. 사인별 비(Cause of Death Ratio)
7. 이환율
8.성비
1. 출산과 출산률
1) 조출생률
조출생률 = 같은 해 년간 총 출생률×1.000 어떤 연도의 7월 1일~현재의 총인구수 산전클리닉의 계획, 영유아 상담클리닉, 탁아소와 미숙아 보호시설, 보건간호의 수요, 앞으로의 취학 아동수에 따른 학교시설 등에 대한 계획수립에 중요한 기초資料가 된다 (인구증가 문제를 다루는데도 중요한 위치 차지)
조출생률 = 같은 해 년간 총 출생률/어떤 연도의 7월 1일~현재의 총인구수×1.000
2) 일반 출산율
일반 출산율 = 그해의 총 출생건수/ 그해의 7월1일 현재 가임여성 인구 총수×1.000
3) 연령별 출산율
연령별 출산율 = 그 해 특수 연령층 여자에 의한 출생총수/그 해 7월 1일 현재 특수연령층 여자 총수×1.000
4) 합계 출생률
한 명의 여자가 특정 연도의 연령별 출산율에 다라 출산을 한다면 일생동안에 총 몇 명의 아기를 낳는가를 표시해 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