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st 장자 제물론에 나타난 상대론의 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8 13:08
본문
Download : 장자 제물론에 나타난 상대론의 문제.hwp
心齋는 虛靜에 도달하려면 귀로 듣지 말고(감각을 사용하지 말고) 마음으로 듣는 것을 말한다. 둘째, 최소한 도덕적인 면에서는 强/肯의 입장이 덜 강…(省略)
다. 이 모든 방법은 직접적이고 직관적이다. 그리고 道를 체득하는 방법으로 心齋, 坐忘, 見獨의 3가지를 제시한다. 見獨은 하나뿐인 道를 보는 것을 말한다.






장자 제물론에 나타난 상대론의 문제
설명
단순히 가치평가적인 카테고리를 잊는 것이긴 하지만 그 ‘잊는다’는 것은, 이들 카테고리의 시각에서 자신과 타인을 보는 능력을 잃는 것이 아니라,... , 장자 제물론에 나타난 상대론의 문제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단순히 가치평가적인 카테고리를 잊는 것이긴 하지만 그 ‘잊는다’는 것은, 이들 카테고리의 시각에서 자신과 타인을 보는 능력을 잃는 것이 아니라,...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장자 제물론에 나타난 상대론의 문제.hwp( 29 )
순서
단순히 가치평가적인 카테고리를 잊는 것이긴 하지만 그 ‘잊는다’는 것은, 이들 카테고리의 시각에서 자신과 타인을 보는 능력을 잃는 것이 아니라, 적당한 때에 이들 카테고리의 사용을 유발하는 능력을 얻은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장자의 직관주의적 인식 방법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장자는 감각 기관의 인식 방법을 부인한다. 그러므로 ‘자각적 反應’이란 이와 같은 직관을 매개로 하여 인식하는 것임을 알 수 있는데 聖君과 暴君의 分岐點은 이와 같은 자각적 反應에 있음을 알 수 있다
弱/肯의 입장에도 장단점이 있다 長點으로 들 수 있는 것은 첫째, 일반적으로 장자의 초월성을 설명(explanation)할 수 있는 동시에 현실도 포용할 수 있는 논리를 확보했다는 점이다. 坐忘은 총명함을 물리치고, 형체를 떠나(감각을 떠남) ‘잊어버리는’ 것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