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Bloom의 교육目標(목표) 분류(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2 11:18
본문
Download : Bloom의 교육목표 분류(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hwp
2) 초보적 기초동작: 잡기, 서기, 걷기와 같이 여러 가지 또는 몇 개의 반사적 운동이 …(skip)
Bloom의 교육目標(목표) 분류(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에 관한 입니다.Bloom의교육목표분류(TaxonomyofEducationalObjectives) , Bloom의 교육목표 분류(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기타레포트 ,
_hwp_01.gif)
_hwp_02.gif)
1. 인지적 영역(Cognitive Domain)
2. 정의(定義)적 영역(Affective Domain)
3. 심동적 영역(Psychomoto Domain)
1) 수용: 어떤 자극이나 활동을 기꺼이 수용하고 자발적으로 주의를 기울이게 되는 것과 같은 민감성을 의미한다(묻다, 찾아내다).
2) reaction response: 어떤 자극 또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자발적으로 reaction response하며 그러한 참여와 reaction response에서 만족감을 얻게 되는 행동을 말한다(확인하다, 인사하다).
3) 가치화: 특정한 대상, 활동 또는 행동에 대하여 의의와 가치를 직접 추구하고 행동으로 나타내는 정도를 가리킨다(완성하다, 기술하다).
4) 조직화: 일관성 있는 가치체계를 내면화시키는 전초단계로서 서로 다른 수준의 가치를 비교하고 연관시켜 통합하는 것을 뜻한다(주장하다, 정리(整理) 하다).
5) 인격화: 개인의 행동 및 생활의 기준이 되며 가치관이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고, 또 그것이 그의 행동을 예측할 수 있을 가능한 정도로 확고하게 그의 인격의 일부로 내면화된 정도를 의미한다(활동하다, 변별하다).
3. 심동적 영역(Psychomoto Domain): 손발 등 신체 일부 또는 전체를 움직여 학습내용을 획득하는 것과 관계있는 행동
Harro의 분류 방식
1) 반사적 운동: 파악 및 무릎반사와 같이 개인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나타나는 단순한 반사운동을 말한다.
설명
Download : Bloom의 교육목표 분류(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hwp( 36 )
순서
,기타,레포트
레포트/기타
다.
Bloom의교육目標(목표)분류(TaxonomyofEducationalObjectives)
Bloom의 교육目標(목표) 분류(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Bloom의 교육목표 분류(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에 관한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