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사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9 13:41
본문
Download : 고대사회_2000072.hwp
순서
고대국가의 성립(왕권강화와 국가조직의 정비시기)과 발전
1. 고대국가의 성격(초기국가와 비교)
왕권의 강화 : 왕위의 세습, 부자상속
중앙집권화 : 군장세력의 중앙관료화(군장세력의 독립성 상실, 외관의 파견, 불교의수용, 율령의 반포)
정복사업의 전개 : 광대한 영토국가의 형성
2.고구려
(1). 성립
◈ 태조왕(53~146) ― 옥저복속, 현도군 축출(B.C.75), 계루부 고씨의 왕위계승
◈고국천왕(179~197) ― 5부의 행정개편, 부자상속, 진대법(춘대추납, 빈민구제책, 의창의 기원)
◈동천왕(227~248) ― 吳와 친교(china(중국) 은 위·촉·오의 삼국시대), 서안평 공격
◈미천왕(300~331) ― 낙랑축출(313, 한군현의 마지막 축출), 서안평점렴(china(중국) 은 5호 16국의 혼란기)
◈고국원왕(331~371) ― 백제 근초고왕(백제의 전성기)의 침공으로 전사
(2). 완성
◈소수림왕(371~384) ― 고대국가의 완성, 불교수용(전진:순도), 태학설치, 율령반포,
(3). 전성기
◈광개토대왕(391~413) ― 요동진출, 만주확보(숙신정복), 한강상류확보, 영락, 신라·가야에 침입한 왜구격퇴 (내물왕)
◈장수왕(413~491) ― 평양천도(427), china(중국) 남·북조와 통교, 백제공략(개로왕 전사 → 웅진천도)
◈문자명왕(491~519) ― 고구려 최대의 영토확보
3. 백제
(1). 성립과 완성
◈고이왕(234~286) ― 고대국가성립과 완성, 낙랑·대방공격(한군현과 대립), 율령반포, 관제정비(6좌평, 16관 등, 관리복색제정), 서진에 사신파견
◈근초고왕(346~375) ― 백제의 전성기, 마한병합, 고구려 공…(생략(省略))
고대사회- 삼국시대 자료 2강_삼국시대 , 고대사회법학행정레포트 ,
레포트/법학행정
고대사회- 삼국시대 자료(data)
고대사회
2강_삼국시대
,법학행정,레포트
설명
Download : 고대사회_2000072.hwp( 95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