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지진에 의한 접합부 파괴 유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9 05:14
본문
Download : [건축] 지진에 의한 접합부 파괴 유.hwp
즉, 보의 플렌지는 기둥에 직접 용접을 통해 접합하는 방식을 취하고 보의 웨브는 보통 전단접합 플레이트 (Shear Connection Plate or Shear Tap)를 통해서 볼트로 접합하는 것이다.
그 외의 중요한 사항으로는 용접 뒷채움재(Weld Backing)의 영향이다.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설명
다음에는 지진하중으로 접합부의 파괴유형을 살펴보았다. 따라서 강 모멘트저항골조가 횡력에 저항할 수 없는 단순접합구조로 많이 되어있다는 사실이다. Weld Backing은 인장이 가장 심한 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노치(Notch)의 영향을 보의 하부 플랜지가 많이 받기 때문에 유의하여야 한다. 먼저 노스리지 지진으로 인한 접합부의 피해를 살펴본 후 2절에서 일본의 고베(Kobe)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한 접합부 피해를 검토하였다.
본 글은 미국의 노스리지에서 발생했던 지진과 일본의 고베의 지진을 통해서 전반적인 지진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 지진들이 강구조의 접합부에 입힌 피해상황을 검토하기 위한 것이 주 목적이다. 먼저 노스리지 지진으로 인한 접합부의 피해를 살펴본 후 2절에서 日本 의 고베(Kobe)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한 접합부 피해를 검토하였다. C1 형태의 파괴는 기둥의 즉각적인 강도 소실을 초래하지는 않는다 하더라도 2차적인 강도의 저하를 가지고 올 수 있는 여건을 초래하고 마는 것이다. 먼저 노스리지 지진은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남부를 강타한 지진으로서 1994년 1월 17일 새벽 4:31분에 발생했던 강진이었다.
그림 2와 같이 보와 기둥의 접합형태는 대부분의 강 모멘트 저항골조가 지켜야할 상세인 것이다. 먼저 노스리지 지진은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남부를 강타한 지진으로서 1994년 1월 17일 새벽 4:31분에 발생했던 강진이었다. 그러나 여기서 간과해서는 안 될 사항을 살펴보면, 우리가 현재 공사현장에 직접 찾아가 관찰하면 위의 접합형식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는데 많은 문제점(問題點)이 있음을 주지하고 싶다.
건축,지진에 의한 접합부 파괴 유형,접합부 파괴
다. 기둥의 플랜지 파괴유형은 표 2와 같이 일곱 가지로 정리(整理) 할 수 있다아 구조물에 있어서 기둥의 파괴는 고정하중을 포함한 모든 수직하중 및 횡하중의 전달능력을 상실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Download : [건축] 지진에 의한 접합부 파괴 유.hwp( 51 )
순서
![[건축] 지진에 의한 접합부 파괴 유-1540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6/%5B%EA%B1%B4%EC%B6%95%5D%20%EC%A7%80%EC%A7%84%EC%97%90%20%EC%9D%98%ED%95%9C%20%EC%A0%91%ED%95%A9%EB%B6%80%20%ED%8C%8C%EA%B4%B4%20%EC%9C%A0-1540_01.jpg)
![[건축] 지진에 의한 접합부 파괴 유-1540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6/%5B%EA%B1%B4%EC%B6%95%5D%20%EC%A7%80%EC%A7%84%EC%97%90%20%EC%9D%98%ED%95%9C%20%EC%A0%91%ED%95%A9%EB%B6%80%20%ED%8C%8C%EA%B4%B4%20%EC%9C%A0-1540_02_.jpg)
![[건축] 지진에 의한 접합부 파괴 유-1540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6/%5B%EA%B1%B4%EC%B6%95%5D%20%EC%A7%80%EC%A7%84%EC%97%90%20%EC%9D%98%ED%95%9C%20%EC%A0%91%ED%95%A9%EB%B6%80%20%ED%8C%8C%EA%B4%B4%20%EC%9C%A0-1540_03_.jpg)
![[건축] 지진에 의한 접합부 파괴 유-1540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6/%5B%EA%B1%B4%EC%B6%95%5D%20%EC%A7%80%EC%A7%84%EC%97%90%20%EC%9D%98%ED%95%9C%20%EC%A0%91%ED%95%A9%EB%B6%80%20%ED%8C%8C%EA%B4%B4%20%EC%9C%A0-1540_04_.jpg)
![[건축] 지진에 의한 접합부 파괴 유-1540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6/%5B%EA%B1%B4%EC%B6%95%5D%20%EC%A7%80%EC%A7%84%EC%97%90%20%EC%9D%98%ED%95%9C%20%EC%A0%91%ED%95%A9%EB%B6%80%20%ED%8C%8C%EA%B4%B4%20%EC%9C%A0-1540_05_.jpg)
[건축] 지진에 의한 접합부 파괴 유형
1.4.2 접합부의 기둥 플랜지 파괴
본 글은 미국의 노스리지에서 발생했던 지진과 日本 의 고베의 지진을 통해서 전반적인 지진의 특성(特性)을 파악하고 그 지진들이 강구조의 접합부에 입힌 피해상황을 검토하기 위한 것이 주 목적이다. 이런 경우에 강한 규모의 지진이 발생한다면 구조물이 강 모멘트저항골조로 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우리가 설계한 의도대로의 거동을 확보할 수 없음을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Backing bar는 용접 후 반드시 제거되어야만 한다.